2025년부터 청년기본소득이 일부 지역에서 중단됩니다.

그럼 나는 받을 수 있을까요? 놓치면 100만 원, 지금 꼭 확인해야 할 내용입니다.

생년월일에 따라 분기별 신청 대상이 나뉘며, 주소지 요건이 매우 까다로워졌습니다.

특히 성남시·고양시 청년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경기도 거주 24세 청년이라면 이번 글에서 신청 자격, 제출 서류, 지역화폐 사용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립니다.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원, 연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주거와 생활에 도움을 주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지원 대상 확인하기

 

①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
② 만 24세 (신청 분기 기준 생년월일 기준)
③ 3년 이상 계속 또는 10년 이상 합산 거주 이력 필요

 

※주의: 성남시(조례 폐지), 고양시(예산 미편성)는 2025년부터 지급 대상 제외!



2025년 분기별 신청 대상

 

분기 생년월일 신청기간 지급일
1분기 2000.01.02 ~ 2000.12.31 3월 1일 ~ 3월 31일 4월 20일
2분기 1분기 대상 중 중복자 일부 - -
3분기 2000.07.02 ~ 2001.07.01 7월 1일 ~ 8월 11일 9월 10일
4분기 2000.10.02 ~ 2001.10.01 10월 15일 ~ 11월 24일 12월 20일



신청 방법과 제출 서류

 

신청 방법: 경기도일자리재단 온라인 접수 전용 홈페이지 이용 (오전 9시 ~ 오후 6시)

 

제출 서류:
1) 신청서 (온라인 입력)
2) 주민등록초본 (주소변동이력 포함, 최근 5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3)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해당자만)

 

※ '마이데이터 서비스' 동의 시 주민등록초본 자동 제출 가능

 

지역화폐 지급 방식 및 사용처

 

카드형 또는 모바일형 지역화폐로 지급되며, 거주 시군에 따라 다릅니다.

 

  • 시흥시·김포시: 모바일 지역화폐
  • 기타 시군: 카드형 지역화폐

 

※ 사용 기한: 원칙적으로 3년, 시흥·군포·과천은 5년

 

사용처: 주소지 시군 내 가맹점 + 일부 온라인 결제 가능 (9월 10일 이후 공지 예정)



Q&A



Q1. 성남시 주민인데 거주 요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성남시는 조례 폐지로 인해 2025년부터 청년기본소득 지급이 중단됩니다.

 

Q2. 24세인데 주소지가 고양시입니다. 신청 가능한가요?

A. 고양시는 2025년부터 시비 미편성으로 신청 불가입니다.

 

Q3. 기초생활수급자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수급자 증명서를 신청 시 함께 제출하면 분기별이 아닌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Q4. 온라인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경기도일자리재단 청년기본소득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

 

Q5. 지역화폐는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A. 주소지 시군의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일부 온라인 사용처도 지원합니다.



결론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복지가 아닌 청년의 권리입니다.
신청 자격과 지역 조건이 까다로워졌지만, 꼼꼼히 준비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신청 시기와 제출 서류는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핵심입니다.
생년월일과 주소지 기준을 확인하고, 3분기 또는 4분기에 꼭 신청하세요!

 

청년 여러분, 이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생활비도 줄이고 지역 경제도 살리는 착한 정책!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